본문
구강내장치
1. 구강내장치의 원리
구강내 장치의 기본 원리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수면시 좁아지거나 폐쇄가 일어나는 기도와 주변 연조직을 넓혀 주어 기도의 떨림을 줄이고, 폐쇄된 기도를 열어주는 것이다.
2. 구강내장치 치료의 적응증
- 체중 조절이나 행동 조절로 개선되지 않는 코골이 또는 심하지 않거나 중간 정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 중간에서 심한 정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 양압기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는 환자
- 외과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는 환자
3. 구강내장치의 효과
4. 구강내장치 제작순서
5. 구강내장치의 고려요소
구강내장치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가지게 된다.
1) 유지력 : 대부분 치아에서 유지력을 얻지만 입술이나 혀에서도 얻는 경우도 있다.
2) 재료의 유연성 : 경성의 재료나 연성의 재료에 따라서 유연성의 차이가 있다. 경성과 연성의 재료들리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들도 있다.
3) 조정가능여부 : 하악전방위치 장치(MAD)는 하악의 전방 이동량이 불충분하여 효과가 부족하면 이동량을 증가 시켜 주어야 하며, 전방 이동량이 너무 커서 턱관절의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전방 이동량을 줄여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하악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구강내장치의 필수 조건이자 장점이다. 조정이 불가능한 모노블럭 타입의(monobloc type) 장치는 이러한 조정을 위하여 재구매 또는 재제작을 하여야 한다.
4) 상하악간의 수직고경(교합높이) : 구강내장치는 상하악간의 교합높이의 정도는 장치에 따라 다양하다. 어느 정도의 교합높이는 필요하지만 개구량이너무 큰 경우에는 하악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오히려 기도의 내부 공간을 줄여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키고, 또한 구강건조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5) 자유로운 하악운동 여부 : 상하악장치간에 joint같은 특별한 장치가 없다면 하악운동이 자유롭지 못하다. 구강내에서 상하악의 마우스피스가 각각 분리된 투피스 타입(two-piece type)의 장치는 하악운동이 어느정도 가능하므로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 줄 수 있다.
6. 구강내장치 사용 중 관찰요소
1) 타액의 분비 – 단기적으로 타액의 분비가 증가 할 수 있다.
2) 치아나 턱관절 – 치아나 턱관절에 일시적 불편감을 줄 수 있다.
3) 구강 건조증 – 구간내장치는 착용 중 어느 정도 입이 벌어진 채로 유지됨으로 구강이 건조해 질 수 있다.
4) 교합변화 – 턱관절의 이상이나 교합변화을 일으킬 수 있으나,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교합의 변화가 느껴지는 경우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을 충분히 갖고 교합 상태가 정상화된 이후에 장치 사용을 다시 시도 합니다. 만약 교합의 변화가 지속될 경우에는 구장내장치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출처] 태일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구강내장치 치료”, 2015
7. 구강내 장치가 전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수면무호흡증이 우리 몸에 미치는 악영향에 관하여서는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자세히 밝혀져 있고 그 심각성이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다고 많은 학자들이 경고합니다. 그렇다면 구강내장치를 사용하면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의 부작용을 얼마나 줄일 수 있을까?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질환은 고혈압 입니다.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 구강내장치를 상용하게 한 결과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약 3.5 mmH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양압기(CPAP)와 이러한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양압기(CPAP)는 혈압 감소 효과가 뚜렷하지 않은 반면 구강내장치는 야간 이완기 혈압을 현저히 감소시켰습니다.
따라서 수면 중 무호흡 / 저호흡이 있는 경우 구강내장치의 사용이 심혈관 질환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하겠습니다.
[출처] 대한치과수면학회